본문 바로가기

t10145

[Terraform] 2-3. Count 장애 상황 재현하기 ✍ Posted by Immersive Builder  Seong  1. 실습 소개 이번 실습은 악분님이 정리하신 실습(count vs foreach) 내용을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Step 1. 변수 파일을 이용하여 서브넷 배포하기 Step 2. Count를 이용하여 서브넷 여러 개 배포하기 Step 3. 가용영역(AZ)을 지정하여 서브넷 배포하기 Step 4. 인덱싱 태그(Tag)를 설정하여 서브넷 배포하기 Step 5. 태그(Tag)를 고유한 이름으로 설정하여 서브넷 배포하기 Step 6. 서브넷 설정 변수를 통합하여 리팩토링하기 Step 7. 잘못된 Count 사용으로 인한 장애 상황 재현하기  2. Count 시나리오시나리오를 진행하기 위한 테스트 VPC(192.168.0.0/16)를 사전에 생.. 2024. 6. 23.
[Terraform] 2-2. Count 활용과 제약사항 ✍ Posted by Immersive Builder  Seong  1. 실습 소개이번 실습에서는 Count 반복문을 활용해보고 제약사항을 알아봅니다.  Count 개념 Count 활용 Count 제약사항  2. Count 활용과 제약사항Count 개념list 형태의 값 목록이나 Key-Value 형태의 문자열 집합인 데이터가 있는 경우 동일한 내용에 대해 테라폼 구성 정의를 반복적으로 하지 않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count 인수로 정수가 포함된 경우 선언된 정수 값만큼 리소스 또는 모듈 생성 count.index : count에서 생성되는 참조값 (0,1,2,..)참조 형식 : .[], module.[] count 인수로 외부 변수에 식별되는 값으로 구성 가능  ex) length(var.name.. 2024. 6. 23.
[Terraform] 2-1. EC2 웹 서버 커스터마이징하기 ✍ Posted by Immersive Builder  Seong  1. 실습 소개이번 실습에서는 이전 코드를 일부 수정하여 EC2 웹 서버를 커스터마이징합니다. 직접 VPC를 구성하고 busybox를 통해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이 지난 실습과는 다른 내용입니다.  Step1. VPC 구성하기 Step2. 유저데이터(user_data) 작성 Step3. EC2 웹 서버 배포 및 접속 테스트  이전 실습 코드는 하기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변경 및 추가한 코드만 기술합니다.) ▶ 이전 포스팅 [Terraform] 1-2. Cloud-init을 활용하여 EC2 웹 서버 배포하기✍ Posted by Immersive Builder  Seong  1. 실습 소개 이번 실습에서는 테라폼을 사용하여 간.. 2024. 6. 22.
[Terraform] 1-2. Cloud-init을 활용하여 EC2 웹 서버 배포하기 ✍ Posted by Immersive Builder  Seong  1. 실습 소개 이번 실습에서는 테라폼을 사용하여 간단한 EC2 웹 서버를 배포합니다. 실습은 AWS 환경에서 진행하며, 작업 순서는 하기와 같습니다.  Step1. 기본 VPC(default) 구성 확인 Step2. 최신 AMI 이미지(Ubuntu) 가져오기 Step3. Cloud-init Script 작성Step4. 테라폼 구성파일 작성Step5. EC2 웹 서버 배포 및 접속 테스트  ▶ 테라폼 기본 사용법 [AEWS2] 8-1. What is Terraform ?✍ Posted by Immersive Builder  Seong  1. Terraform 기본 개념  Terraform 이란?HashiCorp에서 공개한 인프라스트럭처를.. 2024. 6. 16.
[Terraform] 1-1. Cloud Shell을 이용하여 테라폼 실행하기 ✍ Posted by Immersive Builder  Seong  1. 실습 소개 이번 실습에서는 AWS Cloud Shell을 이용하여 빠르게 테라폼을 실행해봅니다.   2. Cloud Shell을 이용하여 테라폼 실행하기 Cloud Shell 이란? AWS CloudShell은 AWS에서 제공하는 브라우저 기반의 명령줄 인터페이스(CLI) 입니다. CloudShell을 사용하면 별도의 로컬 설정 없이 AWS 리소스를 관리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프로비저닝 환경 : AWS CLI, AWS SDK 도구가 미리 설치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브라우저 기반 : 브라우저 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로컬 환경설정이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인증 및 권한 : AWS Mana.. 2024.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