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Consulting

[사업] 제안서를 이해해보자 (1편)

by okms1017 2023. 4. 19.
728x90

✍ Posted by Immersive Builder  Seong

 

 

저는 솔루션 아키텍트(SA)로서 주로 공공기관 클라우드 설계 및 구축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클라우드 사업 제안서에 표현된 문구에 대해서 이해해보도록 할게요.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먼저 고객(기관)이 제안요청서(RFP:Request For Proposal)를 통해 사업을 발주하면

여러 공급자(수행 업체)가 공고를 확인하고 입찰에 참여합니다. 

 

제안요청서란 고객이 사업(프로젝트)을 수행할 공급자를 선정하기 이전에 

요구사항들을 정리하여 교부하는 문서를 의미합니다. 

 

공급자는 제안서를 작성하여 고객에게 제안하고

고객은 제안서를 평가하여 가장 적합한 공급자를 선정합니다. 

 

제안서란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문서입니다. 

 

최종적으로 공급자는 고객과 계약을 체결하여 사업을 수주받게 됩니다. 

 


제안서에는 여러 유형이 있지만

오늘은 차세대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을 위한 ISP 제안서를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란 정보시스템 구축의 계획 단계로서

사업의 전반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목표를 수립하는 단계에 해당합니다. 

 

ISP 제안서는 크게 클라우드의 필요성 / 기대효과 / 비용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일반적으로 기존 레거시 환경의 AS-IS 현황을 분석하고,

클라우드 아키텍처 기반 위에 신기술과 선진적용사례를 적용하여 패턴화된 목표모델을 수립합니다. 

 

이제 TO-BE 설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하기 주요 현황과 이슈를 함께 살펴보시죠.

 

 

[주요 현황 및 이슈]

 

  • 17개 지역 분산 운영
  • 낮은 CPU 사용률
  • 시스템 노후도 증가(57%)
  • 낮은 가상화 비율
  • 46% UNIX 시스템 사용 비중이 높음
  • 고비용 상용 DBMS 사용
  • 프레임워크의 비표준화 

 

그럼 각 항목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나름대로 해석해보겠습니다. 

 

 

1. 17개 지역 분산 운영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정보시스템들을 클라우드 환경에 하나로 집중하여 중앙관리한다는 의미입니다. 

분산 운영과 중앙화는 선택사항이며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2. 낮은 CPU 사용률

 

CPU 사용률이 낮다라는 것은 그만큼 유휴자원이 많다는 것입니다. 

클라우드로 가상화를 하면 서버 스펙을 Scale-Up/Down, Scale-In/Out 하기가 용이하므로 실제 필요한 만큼만 리소스를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시스템 노후도 증가(57%)

 

노후도라는 것은 무슨 말일까요? 

CPU의 내구연한이 약 5년이라고 하면, 5년 후에는 CPU의 성능이 1/10로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5년 단위로 장비 교체 작업을 해야하고, 교체 시기에 맞추어 보통 차세대 프로젝트 또는 서비스 고도화를 함께 진행하게 됩니다. 

 

 

4. 낮은 가상화 비율

 

물리 장비에서의 가상화는 매우 한정적입니다. 반면, 클라우드는 자유롭게 가상화가 가능합니다. 

가상화와 베어메탈은 선택사항이며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베어메탈이 필요한 경우라면 안정적인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5. 46% UNIX 시스템 사용 비중이 높음 

 

요즘에는 경량화된 리눅스와 클라우드의 범용화로 인해 유닉스 사용 비중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HP, IBM, SUN(구) 등 유닉스 계열의 회사에서는 더이상 고가의 유닉스 장비를 생산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커널 OS는 지속적으로 버전을 업그레이드하고 있으며, 신기술들은 최신 버전의 커널 OS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습니다.

달리 해석하면 커널 OS는 CPU에 종속적이므로 구 유닉스 장비의 CPU에서 최신 커널 OS를 지원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결국 클라우드로 전환함으로써 차세대 프로젝트를 통해 신기술을 도입할 수 있다는 근거가 성립이 됩니다. 

 

 

6. 고비용 상용 DBMS 사용

 

고비용하면 떠오르는 DBMS가 무엇이 있을까요? 네. 바로 Oracle 입니다. 

정부 정책상 외산 제품은 국산 제품으로 전환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Tibero는 Oracle 과 구조가 거의 동일하므로, 결국 Oracle 에서 Tibero 로 전환한다는 의미입니다. 

고객은 국산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Oracle 에서 MySQL 이기종 전환은 어플리케이션 단의 수많은 수정 작업을 요구하며,

Oracle 에서 PostgreSQL 이기종 전환은 기술적으로 가능한 부분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유지보수할 엔지니어가 부족하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7. 프레임워크의 비표준화 

 

프레임워크의 비표준화는 또 무슨 말일까요? 

정부에서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도록 규정한 프레임워크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 하나입니다. 

그러나, 정보시스템마다 사용하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의 버전이 다른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일반 스프링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심지어 프레임워크가 아닌 서블릿 구조로 동작하는 정보시스템도 본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전자정부프레임워크가 아닌 케이스와 오래된 버전의 전자정부프레임워크를 안정화 버전으로 표준화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이로써 ISP 제안서의 클라우드의 필요성에 해당하는 '주요 현황 및 이슈'  항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서술한 내용은 제안서의 일부분에 불과하며 훨씬 내용이 많습니다. 

제안서의 모든 문구는 각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비록 컨설팅 분야에 해당하는 업무이지만

프로젝트에 참여하다보면 엔지니어인 저도 자연스럽게 제안서를 접하게 됩니다.

 

나머지 내용은 시간이 날 때 한 번씩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꾸벅) 

 

 

 

 


728x90